[OPSF특징]
Hop수 제한이 없음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빠른수렴(Fast convergence)
계층적 네트워크 구조 : Area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라우터와 CPU와 메모리 부담을 줄여주고, Area의 라우팅 프로토토콜 트래픽의 영향을 국소화시킴.
VLSM와 Supernetting Mask 지원
여러 경로에 대해 동일 Cost Load Balancing 지원
외부 경로들의 추적을 위한 Route Tagging 지원(라우팅 루프 방지를 위해 태깅을 넣는다.)
[OSPF State]
OSPF 네이버 라우터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완전한 라우티 테이블이 아닌, OSPF 라우터들의 인터네트워크연결 상태이다. OSPF 라우터들은 자신들의 링크상태를 공지한다.
라우터들은 이 링크 상태 정보를 가공해서 링크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이것을 본질적으로 누가 무엇에 연결되어있는지에관한 조감도와같다.
[DR 과 BDR]
DR BDR은 라우팅 업데이트 트래픽 감소와 Link-State 동기화 관리라는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1.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값을 갖고있는 라우터가 DR이 된다.
2. 두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값을 갖고 있는 라우터가BDR이 된다.
3. 우선순위가 동률이면 Router ID가 가장 큰 라우터가 DR이 된다.
4. 우선수뉘가 0으로 세팅되면 DR또는BDR이 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5. DR과 BDR이 선출된 후에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라우터가 네트워크에 추가 되더라도 DR과 BDR은 바뀌지 않는다.
단지 DR또는 BDR이 장애가 발생될때만 새로운 DR또는 BDR이 선출된다.
[OSPF 라우터의 종류]
IR(내부라우터)
ABR(다중 Area에 접속된 라우터)
BR(백본에 접속된 인터페이스를 보유한 라우터)
ASBR(다른 AS에 속하는 라우터들과 라우팅정보를 교환하는 라우터)
Standard Area : 링크 업데이트들과 라우트 요약(Route Summary)를 받을 수 있는 Area의 통칭
Stub Area : 라우트에 관한정보 LSA Type 5를 받지않는 Area를 말한다. 보통 Hub & Sporke 구조일 때 사용한다.
BackBone Area (Transit Area) : Area 0 으로 선언되어있어야 한다. 다른모든 Area들은 라우터 정보를 상호교환하기 위해서는 이 백본 Area와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백본 Area는 표준 Area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
Totally Stubby Area : Type 5와 Type3,4를 받지 않는다. 자신의 Area의 라우트 정보만 갖고 있고, 그 이외의 라우트는 디폴트 라우트를 이용한다. 이 Area의 특성은 표준이아니고 , 시스코 독점이다.
[OSPF LSA Type]
Type 1(Router-Link) : 자신이 속한 area 내에서 생성, O로 표기한다.
Type 2(Network Link) : 다중 접속 네트워크에서 DR에 의해서 생성된다, O로 표기한다.
Type 3(Summary Link) : ABR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 LSA는 백본 에어리어를 통해 다른 ABR로 플러딩된다, IA로 표기된다.
Type 4(Summary Link) : ABR에 의해서 생성된다. Type 4 LSA는 ASBR까지의 도달 가능성을 설명한다.이 LSA는 백보 에어리어를 경유하여 다른 ABR로 플러딩되지마, Totally Subby Area로 플러딩 되지 않는다, IA로 표기된다.
Type 5(AS External Link) : ASBR에 의해서 생성된다. Type 5 LSA는 라우트들이 외부 AS에 목적지가 있다는 의미이다. 이 LSA는 Stub과 Totally Stubby Area를 제외하고 OSPF AS 전체에 플러딩된다. Type 5 LSA를 통해 배운 라우트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E1 또는 E2로 표기된다.
Type 7(NSSA AS External Link) : NSSA(Not so stubby area)에d 연결된 ASBR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 LSA들은 NSSA 전체에 플러딩되며, ABR에 의해 Type 5 LSA로 변환된다. Type 7 LSA를 통해 배운 라우트는 라우팅 테이블에서 N1 또는 N2 로 표기된다.
'Network RFC Docs Analyze'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 최적 경로 선택 | 속성 우선순위 (0) | 2023.07.03 |
---|---|
BGP 속성의 종류 (0) | 2023.07.03 |
네트워크 기초 정리자료#1 (0) | 2023.06.28 |
Loopback을 이용한 BGP간 네이버 설정 (0) | 2023.06.27 |
IBGP 특징 & Route-Reflector (0) | 2023.06.27 |
댓글